주요 뉴스

source: www.bloomberg.com, www.cnbc.com, www.reuters.com, www.wsj.com, www.barrons.com, www.marketwatch.com, www.coinness.com etc

트럼프, EU·멕시코에 '30% 관세' 예고 (원문)

(source: Reuters)
(source: Reuters)

(로이터)

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 상대국인 유럽연합(EU)과 멕시코산 수입품에 8월 1일부터 30%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함

  • 이는 수 주간 이어진 무역 협상이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나자 나온 조치로, 글로벌 무역 전쟁이 다시 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

  • 이번 조치는 EU와 멕시코뿐만 아니라 캐나다, 일본 등 23개 다른 교역 상대국에도 통보되어,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무역 정책이 전면적으로 재개되었음을 시사함

  • EU는 "불공정하고 파괴적인 조치"라고 강하게 비판하면서도 협상의 문은 열어둠; 멕시코 대통령은 "냉정하게 대처하겠다"면서도 "국가 주권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"라고 선을 그음

EU, 미국의 관세로 타격받은 다른 국가들과 협력 강화 계획 (원문)

(source: Bloomberg
(source: Bloomberg)

(카더라/블룸버그)

EU는 미국의 관세 부과로 피해를 본 캐나다, 일본 등 다른 국가들과 공조 방안을 논의하며, 필요시 공동 대응을 모색 중이라고 함

  • EU는 대화를 통한 해결을 우선시하여 보복 관세 부과를 8월 1일까지 유예함; 동시에,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총 930억 유로 규모의 보복 관세 목록을 준비하며 미국을 압박하는 '양면 전략'을 사용하고 있음

  • 특히 농산물에 대해 10% 이하의 관세를 목표로 협상 중이며, 이는 미국이 제안한 17%와 차이가 있음

  • 프랑스 대통령과 독일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30% 관세 위협에 따른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우려하며, EU의 단합과 철저한 대비를 촉구하고 있음

FAA·보잉, 에어인디아 사고 조사 중 '연료 스위치 안전' 결론 (원문)

(source: Reuters)
(source: Reuters)

(일부 카더라/로이터)

지난달 260명의 사망자를 낸 에어인디아 보잉 787기 추락 사고의 원인을 두고 '조종사 과실'과 '기체 결함' 가능성이 팽팽히 맞서고 있음

  • 예비 보고서에서 이륙 직후 연료 스위치가 동시에 꺼진 것이 확인됐지만, 조종실 음성 기록에는 한 조종사가 "왜 연료를 차단했나?"라고 묻자 다른 조종사가 "안 했다"고 부인하는 내용이 담겨, 기체 결함 논란이 촉발됨

  • 인도 조종사 협회는 '조종사 과실'로 결론이 나는 것을 강하게 부인하며, FAA가 이미 2018년에 해당 스위치 점검을 '권고'했다는 점을 들어 잠재적 결함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주장함

  • 반면, 미국 연방항공청(FAA)과 보잉은 사고 이후 각국 항공 당국에 "연료 스위치는 안전하며, 의무적인 개선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다"라고 비공개 통보하며 기체 결함 가능성을 일축함

엔비디아 CEO "중국군의 엔비디아 칩 사용 우려, 과장됐다" (원문)

(source: CNBC)
(source: Getty Images)

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CNN 인터뷰에서 중국군이 엔비디아의 AI 칩을 사용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함

  • 그는 중국군 입장에서 언제든지 공급이 차단될 수 있어 사용을 피할 것이라고 설명함

  • 젠슨 황은 미국의 대중국 기술 수출 통제 전략이 결국 실패할 것이라고 비판하며, 이러한 제한이 오히려 중국 자체의 반도체 기술 개발을 촉진시켜, 결국 미국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강력한 경쟁자를 키우는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경고함

엔비디아 CEO, 7월 16일 베이징서 기자회견 개최 (원문)

(source: Reuters)
(source: Reuters)

(로이터)

  • 엔비디아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, 젠슨 황 CEO가 7월 16일 수요일에 베이징에서 기자간담회를 열 예정이라고 함

말레이시아, 미국산 AI 칩에 무역 허가제 도입 (원문)

(source: Reuters)
(source: Reuters)

(로이터)

말레이시아 정부가 자국을 경유하는 미국산 고성능 AI 칩의 수출, 환적, 통과에 대해 허가제를 도입함

  • 이번 조치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강화에 발맞춘 것으로, 말레이시아는 수출 통제 우회·불법 거래 시 “엄정한 법적 조치”를 예고하고 있음

구글, 24억 달러에 윈드서프 CEO 등 AI 인재 영입 (원문)

(source: CNBC)
(source: Getty Images)

(CNBC)

구글이 24억 달러를 들여 AI 코딩 스타트업 '윈드서프(Windsurf)'의 CEO와 핵심 개발팀을 영입함

  • 이번 계약은 회사를 통째로 사는 전통적인 인수합병(M&A)이 아닌, 핵심 인재와 기술 라이선스만 확보하는 '인수형 고용(Acqui-hiring)' 방식임

  • 이번 영입은 빅테크 기업들 간의 AI 인재 확보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를 보여줌 (*윈드서프는 당초 OpenAI와 30억 달러 규모의 인수 협상을 벌인 바 있음)

메타, 음성 AI 스타트업 ‘PlayAI’ 인수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Reuters)

메타가 AI 음성 기술 스타트업 '플레이AI' 팀 전체를 인수함

  • 이는 회사를 통째로 사는 전통적인 M&A가 아닌, 핵심 인재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'인수형 고용' 방식임

머스크, '테슬라의 xAI 투자 여부 주주 투표에 부칠 것"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X)

일론 머스크는 X(구 트위터)에 테슬라가 자신의 AI 스타트업 xAI에 투자할지를 주주들이 직접 결정하도록 투표에 부치겠다고 밝힘

  • 그는 개인적으로는 투자를 원하지만, 최종 결정 권한은 이사회와 주주들에게 있다고 전함

  • 테슬라는 이미 xAI의 챗봇 '그록(Grok)'을 차량에 탑재할 계획을 발표했으며, xAI는 실제로 테슬라의 에너지 저장 장치 '메가팩'을 대량 구매한 고객이기도 함

  • 한편, 일론 머스크는X(전 트위터) 게시물에서 한 사용자의 질문에 xAI와 테슬라의 합병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힘

미국 온라인 지출 241억 달러 급증?! (원문)

(source: Reuters)
(source: Reuters)

(로이터/어도비 분석)

"여름 블랙프라이데이"로 불리는 7월 8~11일 대규모 할인 행사 기간 동안, 미국 온라인 쇼핑 지출액이 예상을 뛰어넘는 241억 달러를 기록함 (*온라인 매출 30.3% 급증)

  • 아마존 프라임 데이를 중심으로 월마트, 타겟 등 대형 유통업체들이 대대적인 할인 경쟁을 펼쳤음; 특히 아마존은 행사 기간을 기존 48시간에서 96시간으로 두 배 늘리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침

다이먼의 줄타기…'사모 대출' 위험 경고와 베팅 사이 (원문)

(source: WSJ)
(source: Reuters)

(WSJ)

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는 사모 대출(Private Credit) 시장이 2008년 금융 위기를 연상시킬 만큼 위험하다고 경고하면서도, 동시에 JP모건이 이 시장에 500억 달러를 투자하며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고 전함

  • 다이먼은 2월 마이애미 행사에서 프라이빗 크레딧을 "금융 위기의 레시피"로 비유하며, 일부 대출자가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함

  • (*분석)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JP모건이 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이유는, 단순히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함을 넘어, 시장이 붕괴될 경우 부실 자산을 헐값에 인수해 이익을 얻으려는 전략적 계획이 있기 때문이라고 함

WSJ 설문, "미국 경기 침체 위험↓, 고용 성장↑(원문)

(source: WSJ)
(source: Getty Images)

(WSJ)

최근 월스트리트저널(WSJ) 설문조사에서 미국 경제학자들은 미국 경제에 대한 단기 전망을 3개월 전보다 소폭 긍정적으로 수정함; 경기 침체 확률은 낮아지고 성장률 전망은 소폭 오름

  • 경기침체 확률: 45% → 33% (향후 12개월); 4분기 GDP 성장률: 0.8% → 1% (전년 동기 대비)

  • 지난 4월 조사 당시 최고조에 달했던 트럼프 대통령의 '관세 폭탄' 위협이 이후 일시적으로 유예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다소 진정되었고, 예상보다 견조한 고용 등 실제 경제 지표가 괜찮았기 때문임

  • 전망이 소폭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, 경제학자들은 여전히 미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음;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하며, 지속적인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성장의 가장 큰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음

  • 다만, 이 조사는 트럼프가 최근 EU와 멕시코에 30% 관세를 위협하기 전인 7월 3~8일에 실시됨

글로벌 국부펀드, '중국 기술 붐' 놓칠까봐 투자 늘린다?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Reuters)

(블룸버그)

인베스코 설문조사에 따르면, 전 세계 27조 달러를 운용하는 국부펀드들이 장기 미국 국채 비중을 줄이는 대신 중국의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함

  • 미-중 갈등에도 불구하고, 중국 기술 분야를 향후 5년간 핵심 투자처로 본다는 응답이 작년 44%에서 올해 59%로 급증함

  • 투자자들은 중국의 기술 혁신이 '제2의 실리콘밸리'가 될 수 있다고 보고, 이 성장 기회를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함 (* 다만 과거처럼 무분별하게 투자하는 것이 아닌, 반도체, AI, 전기차, 재생에너지 등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신중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음)

중국, 무역 혼란 극복하며 기록적인 수출과 흑자 달성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Reuters)

중국은 2025년 상반기에 약 5,860억 달러에 달하는 기록적인 무역 흑자를 달성함; 이는 대미 수출이 안정되고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이 크게 늘어난 덕분임

  • 6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.8% 증가한 3,250억 달러로 예상치를 상회했으며, 수입 또한 1.1% 증가하여 2월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함

  •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16.1% 감소했지만, 아세안(ASEAN) 10개국으로의 수출이 17% 급증하여 감소분을 상쇄함

  • 중국 당국과 전문가들은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래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음 (*현재의 수출 회복세는 무역 전쟁의 '일시적 해빙'에 따른 반짝 효과일 수 있다는 분석이 있음)

일본 국채 금리 급등…선거 앞둔 재정 우려에 투심 악화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Bloomberg)

(블룸버그)

7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, 정치권의 재정 지출 확대 약속에 대한 우려로 일본 장기 국채 수익률이 급등함

  • 일본 여러 현지 언론 여론조사에서 집권 연합(여당)이 과반수를 잃을 가능성이 제기되자, 정치인들이 유권자들의 표를 얻기 위해 추가 재정 지출과 감세를 약속하고 있기 때문임

  • 이로 인해 장기 국채 금리가 급등하며 수익률이 역사적 고점에 근접함 (30년물 3.165%, 20년물은 2000년 이후 최고)

일본은행, 식품 가격 상승으로 물가 전망 상향 조정 고려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Reuters)

(카더라/블룸버그)

일본은행(BOJ)이 예상보다 높은 식품 가격, 특히 쌀값 급등과 유가 상승을 이유로 이달 말 열리는 회의에서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함 (*쌀값이 전년 대비 두 배로 급등하며 1971년 이후(반세기 만에)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함)

  • 2025 회계연도 2.2% 물가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음

  • 기준금리의 경우 미일 무역협상과 7월 20일 참의원 선거 등 정치적 불확실성 때문에 0.5%로 동결될 가능성이 큼

옵션 트레이더들, 파운드 전망 비관적으로 전환!?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Bloomberg)

(블룸버그)

영국 파운드화가 미국 달러 대비 7일 연속 하락하며 2023년 7월 이후 가장 긴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음

  • 옵션 시장 투자자들도 파운드화의 추가 하락에 베팅하며 비관론이 커지고 있음

  • 이는 영국은 경기 둔화 우려에 대응해 금리 인하를 적극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반면, 미국은 견조한 경제와 물가 때문에 최소 9월까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

  •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EU 등에 대한 관세 위협을 다시 높이면서, 달러에 대한 선호도가 커지고 있음

유가, 트럼프의 러시아 관련 성명 주시 속 3주 만에 최고치 (원문)

(source: Reuters)
(source: Reuters)

유가는 러시아에 대한 미국의 추가 제재 발표를 기다리는 가운데 상승함

  • 또한 중국의 6월 원유 수입량이 2023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유가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음

비트코인, 상승 모멘텀 속 12만 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 경신 (원문)

(source: Bloomberg)
(source: Bloomberg)

(블룸버그)

비트코인이 몇 달간의 정체기를 벗어나 투자자들의 낙관론이 다시 커진 결과, 사상 처음으로 12만 달러를 돌파하며 신고가를 경신함

  • 현물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ETF를 통한 강력한 기관의 수요가 상승세를 이끌고 있음

  • 주말 동안 비트코인 하락에 베팅했던 공매도 포지션(약 10억 달러 규모)이 강제 청산되면서 가격 상승을 더욱 부채질함

  • 미국 의회의 '암호화폐 주간(Crypto Week)'에서 주요 암호화폐 법안 토론 및 투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됨

  •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단순 투기 자산을 넘어 '거시적 헤지 수단'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분석하며, 다음 저항선으로 12만 5천 달러를 주목하고 있음; 다만 일각에서는 이번 랠리가 거시 경제 흐름과 무관한 단발성 이벤트일 수 있다는 신중론도 제기됨

암호화폐 (원문)

  • BTC 미결제 약정 $420억...1년 만에 최대

  • 샤프링크 ETH 보유량 1위...이더리움 재단 제쳐

  • 프로쉐어스 XRP 선물 ETF, 7/18 출시 예정

  • 지난 금요일 ETH 현물 ETF 2.049억 달러 순유입

  • 지난 금요일 BTC 현물 ETF 10.27억 달러 순유입

개별 기업

📌2025년 7월 3주 차 주요 일정

  1. 경제지표

  • 소비자·생산자 물가지수 (CPI, PPI), 소매판매, 기대인플레이션, 베이지북 등

  1. 연준

  • 보우먼, 월러, 바킨, 콜린스, 로건, 해멕, 쿠글러 등

  1. 실적발표

  • JP모건, 씨티, 블랙록, 골드만삭스, BofA, TSMC, ASML, 넷플릭스 등

  1. 이벤트

  • 주주총회: STZ, WMS, UEC 등

Last updated